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곧 바뀌는 한국 해썹인증원의 해썹인증절차 알아보기

by 파리파이 2022. 4. 26.

우리나라에서 식품과 관련된 사업을 하거나 해당 직종에서 근무를 하게 되면 haccp이라는 단어를 참 많이 들어보게 되는데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이제 곧 바뀌는 해썹인증원의 해썹인증절차 및 haccp제도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accp이란?

먼저 해썹의 뜻을 알아야 할텐데요, HACCP(해썹)은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에서 인증해주는 일종의 자격증명 같은 것으로 위해요소중점관리 제도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아마도 유명한 식품공장에는 왠만하면 HACCP 인증 마크가 붙어있을텐데, 우리가 자주 먹는 육가공, 냉동수산 및 피자, 만두, 냉동 면, 과자, 음료, 레토르트, 배추김치류, 빵 등등등 블로그에 나열하기도 벅찰정도의 가공식품들이 HACCP 해썹 의무적용을 받고 있습니다. 직접적으로 우리 입에 들어오는 먹거리들을 만드는 식품회사들의 위생, 청결, 환경개선을 위해서 만들어진 제도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HACCP? 해썹인증원?

먼저 해썹 인증을 받는 인증절차는 나름 까다로운데요 그래서인지 HACCP 인증을 받은 업체들은 해썹마크를 활용해 광고, 마케팅에 더 적극적인 활동을 펼치는 것을 종종 볼 수 있으셨을 겁니다.

 

haccp 그래픽 사진.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깐깐한 haccp 해썹 항목들

HACCP을 받기 위해서는 흔히 해썹인증원이라고 불리는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을 통해서 HACCP 인증을 받으시면 되는데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해당 식품공장에서 HACCP 인증 준비

2. HACCP 해썹 신청 서류 접수 -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3. 서류검토 -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4. 현장평가 -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5. HACCP 인증서 발급 -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6. 정기조사 평가 (연 1회 이상)

 

이렇게 식품공장 및 업체에서 HACCP을 준비하고 서류 접수 후 서류, 현장평가에 통과하게 되면 인증서가 발급되는데 이때 알아두셔야 할점은 해썹인증서는 위생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이기 때문에 매년 정기조사를 받아야 한다는 점입니다.

 

HACCP 인증 무엇이 바뀌나?

식약처에서는 기존 HACCP 인증없이 식품판매 행위가 가능했던 업체들에 대해서 HACCP 인증을 의무적으로 받게끔 확대적용 하였는데 소비자들의 입장에서는 좀 더 위생적인 식품을 접할 수 있어서 참 다행인것 같습니다.

특히 어린이 기호식품류를 생산하는 모든 식품제조업체, 가공업체는 2021년 11월 30일까지 무조건 해썹인증을 받아야 하니, 이렇게 어린이식품 관련된 업체들을 모두 의무적으로 해썹인증을 받게 한 것은 참 잘한 것 같습니다.

 

아무튼 이번 11월 30일까지 반드시 HACCP 인증을 받아야 하는 식품류 업체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과자 및 캔디류

- 빵 및 떡 종류

- 초콜릿 종류

- 어육 소시지

- 커피와 차를 제외한 모든 음료

- 즉석섭취식품 일체

- 국수 및 유탕면류

- 특수용도식품 등 총 8가지

 

"해당 내용은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보도자료 내용을 참고하였으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직접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홈페이지에 방문하셔서 확인하시는것을 추천합니다."

 

한국 식품안전 관리 인증원 홈페이지 바로가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