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충방제업체쪽 일을 하면서 고객들을 만나다 보면 바퀴벌레인줄 알았는데 먼지벌레 라던가, 집개미인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먼지다듬이로 밝혀지는 등 생김새가 비슷한 해충들을 바퀴나 개미 등 다른 해충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오늘은 집에 개미가 사는 줄 알고 개미약만 잔뜩 설치했었는데, 알고보니 실제로는 먼지다듬이가 문제가 되고 있었던 사례를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주방 먼지다듬이 문제
몇일전에 한 고객님께서 주방에 개미가 너무 많이 보인다며 고객님이 저에게 보내주신 사진입니다.
무리지어 다니는 모습, 그리고 개미와 비슷한 생김새로 집개미(애집개미)로 많이 오인받는 녀석들인데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이 녀석들은 먼지다듬이라는 벌레로, 가정에서 많이 발견되는 해충 중 하나입니다. 색깔이 유백색이며 개미와 비슷하게 생겨서 흰개미로 오인하시는 분들이 많지만 목조주택에 살거나 해외에서 직접 수입한 원목 가구가 집에 있지 않는 한 흰개미는 가정집에서는 흔히 나오는 해충은 아니므로 일단은 안심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먼지다듬이 이녀석도 만만한 녀석은 아닌데요, 특별히 질병을 옮기거나 알레르기를 일으키거나 하지는 않아 직접적인 해는 끼치지 않지만 좀처럼 퇴치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심하게 주는 녀석들입니다. 번식력이 굉장하고 집에 몇마리가 보였다면 수천마리가 서식할 가능성도 있는 녀석이고 퇴치가 다 되었더라도 온습도 관리가 미흡할때에 다시 스멀스멀 기어나오는 녀석들이라 먼지다듬이 문제를 겪고 계신 고객님들은 극도의 스트레스에 시달리게 됩니다.
그렇다면 먼지다듬이 퇴치는 어떻게 진행해야 할까요?
먼지다듬이 퇴치법
먼지다듬이는 이름에 걸맞게 집안에 굴러다니는 먼지, 곰팡이 균 류, 사람의 몸에서 떨어져 나온 각질, 곤충의 사체 등 바닥에 떨어진 이물질들은 닥치는 대로 먹어치우는 청소부 같은 녀석들입니다. 그래서 집안 청소를 자주 해줘서 바닥에 떨어지는 먼지, 이물질들을 잘 제거해 주셔야 하고 먼지다듬이가 보였다면 당분간 실내 습도를 55% 이하로 약간은 건조하게 유지시켜줘야 합니다.
특히 아이를 키우는 집에서는 난방을 많이 따뜻하게 하고 습도도 꽤 높은집들이 많은데요, 이러한 환경이 먼지다듬이가 가장 좋아하는 고온다습한 환경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먼저 환경적인 부분을 개선시킨 후, 살충작업을 진행하셔야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먼지다듬이 살충제
먼지다듬이 퇴치제는 에어졸이나, 잔류성이 있는 살충제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보통 먼지다듬이 살충제로는 비오킬, 먼다킬, 로보킬 등의 살충제를 많이 사용하며 집안 곳곳에 퍼져있는 먼지다듬이를 잡으려면 가구 틈새, 벽면 틈새, 바닥틈새 등 모든 구획에 구석구석 살충제를 충분히 분무해야 효과를 보실 수 있을거에요.
먼지다듬이가 살 수 없는 환경조성
꾸준한 틈새청소, 온습도관리 등 실내의 청결함이 유지되는 상황에서 먼지다듬이 퇴치를 진행해야 지긋지긋한 먼지다듬이들을 다시는 안 볼 수 있을 겁니다.
개인적으로는 쥐, 바퀴, 개미보다 훨씬 퇴치하기가 힘든것이 먼지다듬이 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다른 방역업체들도 먼지다듬이 퇴치는 상당히 까다로운 작업으로 보통 비싼 비용을 받아 퇴치를 진행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만큼 먼지다듬이를 퇴치하려면 꾸준하고 성실하게 청소와 온습도관리를 병행하며 효과를 보셔야 하겠습니다.
먼지다듬이는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오늘은 먼지다듬이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았는데, 먼지다듬이는 보통 해충방제업체들도 많은 비용을 받고 먼지다듬이 퇴치를 진행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만큼, 한번 집에 서식하게 되면 잘 퇴치가 되지 않는 녀석들 중 하나인데요, 그 이유는 바로 살충제나 퇴치제만으로 먼지다듬이가 사라지는것이 아닌, 꾸준한 관심을 가지고 관리를 진행해야 퇴치가 진행되는 녀석들이기 때문입니다. 깔끔하고 클린한 가정 환경을 구성해서 먼지다듬이 피해를 최소화 하시기 바라겠습니다. 다음에 더 유익한 포스팅으로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틀에 계속해서 나오는 권연벌레 깔끔하게 없애는 방법. (0) | 2022.05.06 |
---|---|
수시렁이가 뭐지? 애알락수시렁이 애수시렁이 알아보기 (0) | 2022.05.06 |
초파리보다 작은 이 날벌레는 뭔가요? 작은뿌리파리 알아보기 (0) | 2022.04.27 |
갑자기 무는 개미가 생겼다면? 침개미, 권연침벌 알아보기 (0) | 2022.04.27 |
늦가을 고약한 냄새를 풍기는 불청객, 소나무허리노린재 자세히 알아보기 (0) | 2022.04.27 |
댓글